생태축, 백두대간 한남정맥을 지켜내다
상태바
생태축, 백두대간 한남정맥을 지켜내다
  • 인천녹색연합
  • 승인 2024.02.22 07: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천, 환경운동 30년]
(11) 한남정맥 보전활동
인천녹색연합이 지난 11월 25일 창립 30주년을 맞아 30년사 발간사와 함께 시민들과 함께한 15대 환경 활동을 발표했습니다. 인천in은 인천녹색연합과 함께 지난 30년간 전개해온 인천의 주요 환경 이슈였던 15대 환경 활동을 요약 연재하며, 지난 인천지역 환경운동의 활동을 되돌아 보며 나아갈 길을 모색합니다. 

 

한남정맥을 관통하는 도로들

 

2007년, 한남정맥 환경조사단의 실태조사와 백두대간

인천녹색연합은 2007년 3월 14일부터 3월 29일까지 총 7차례에 걸쳐서 한남정맥에 대한 환경조사를 진행하였다. 조사결과 수도권의 핵심 생태/녹지축인 한남정맥 김포와 인천구간에는 군용 폐건전지와 탄창, 폐타이어, 군용 식량포장지 등 80여톤의 군부대 폐기물과 생활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었다. 이런 상황은 KBS, MBC, SBS를 비롯한 언론에 일제히 보도되었다. 그 해 군부대에서는 김포지역에 대해 대대적인 정화활동을 벌였고 이듬해 1군사령관 주재로 본부녹색연합과 인천녹색연합 사무처장이 참여한 가운데 군환경 시범식이 강원도 인제에서 개최되었다.

이후 시민탐사단을 구성하여 11차례 김포 문수산에서부터 김포와 서구 경계의 가현산, 인천의 계양산~천만산~원적산~만월산~성주산, 시흥과 안산, 안양의 수리산, 수원의 광교산, 용인의 석성산과 구봉산, 안성의 국사봉과 칠장산까지 한남정맥 172.6㎞ 전구간을 조사했다. 조사결과는 ‘한남정맥환경실태조사보고서’를 펴냈다. 조사내용은 경인일보에 ‘한남정맥, 그 현장을 가다’로 10회에 걸쳐 연재되었다. 인천녹색연합과 경인일보는 2014년 후속으로 ‘다시 찾은 한남정맥’이라는 타이틀로 기획취재보도하였다. ‘마루금’을 중심으로 좌우 500m 반경을 살펴보았다. ‘마루금’은 마루와 마루를 연결한 선, 즉 산줄기를 잇는 선을 뜻한다.

 

 

조사를 시작하자 가장 먼저 조사단의 눈에 들어온 건 엄청난 양의 쓰레기였다. 한남정맥 구간은 군용폐전지, 탄창, 폐타이어 등 군부대 폐기물로 덮여 있었고, 냉장고, 세탁기 등 대형 생활폐기물도 적지 않았다. 생활하수가 하천으로 흘러 들어가 수질을 오염시키는 것도 문제였다. 군부대 주변이 환경오염의 사각지대라는 걸 확인할 수 있었다. 인천녹색연합은 국방부에 주둔지와 훈련지의 폐기물 종합대책을 수립할 것을 촉구하였다.

이때의 조사는 녹색연합이 추진해 온 ‘백두대간 보전운동’의 연장선상에서 진행된 것이었다. 녹색연합은 1999년부터 백두대간 보전운동에 몰입해 왔다. 한남정맥은 백두대간 중 한강 이남으로 연결된 산줄기를 가리키며, 인천녹색연합은 한남정맥을 경인남부지역의 핵심녹지·생태축으로 보고 가치를 발굴해 왔다.

백두대간은 녹색연합이 제시한 정의에 따르면, ‘산줄기, 물줄기의 모양과 방향을 기초로 구분한 우리 민족 고유의 지리인식체계’로 ‘백두산에서 비롯된 큰 산줄기’란 의미를 담고 있다. 녹색연합은 백두대간을 ‘우리나라 모든 강의 발원지’이자 역사·문화의 토대가 되어 왔다고 보았다. 또한, 야생동식물의 이동통로인 동시에 서식지로서 산림생태계의 삶터가 된다고 정의 내렸다. 따라서 일제강점기 일본인이 만든 산맥 개념을 대체하여 국가 발행지도에 표기하고, 곳곳에서 훼손된 백두대간을 복원하고 보전하는 운동를 펼쳐나가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녹색연합의 ‘백두대간 보전운동’은 2003년 12월 9일, 16대 국회 본회의에서 ‘백두대간보전·관리법안’을 상정, 통과시키는 성과를 이끌어냈다. ‘백두대간보호에 관한 법률’은 같은 해 12월 31일에 제정됐고, 이어 ‘백두대간보호 기본계획’이 수립돼 2006년부터 2015년까지 시행됐다.

법률은 제정됐으나 해결해야 할 문제는 여전히 쌓여 있었다. 중요한 건 ‘복구’가 아니라 ‘복원’이었다. 녹색연합은 터널 건설 등으로 이용도가 사실상 사라진 폐도로의 생태복원 등 ‘백두대간의 보전’에서 ‘생태복원’으로 논의를 확장시켰다.

 

 

한남정맥을 훼손하는 검단장수간도로 건설 계획

인천시는 2009년 검단신도시 광역교통개선대책에 따라 2014년 준공을 목표로 왕복 4차선의 검단장수간도로 계획을 수립하였다. 당시 공사기간은 2010년 7월부터 2014년 6월까지 총 4년으로 계획되었고, 총연장 20.7㎞로 서구 당하동과 남동구 장수동을 잇는 도로였다. 이 도로가 완공되면 한남정맥에 17개의 교량과 8개의 터널이 건설될 예정이었다.

한남정맥은 이 도로가 아니더라도 이미 크고 작은 도로로 인해 녹지축이 단절되어 있었다. 더구나 이 도로는 인천내륙의 유일한 자연녹지인 한남정맥을 따라 어묵 꼬치 꿰듯 터널과 교량으로 관통하는 계획이었다. 도로가 개설된다면 한남정맥에서 발원하는 수많은 하천과 지하수가 오염될 것은 뻔한 일이었다. 도로 개설의 필요성도 설득력이 적었다. 봉수대로, 서곶로, 인천지하철1호선과 인천지하철2호선, 수도권제1순환도로, 인천공항고속도로 이외에도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까지 감안하면 검단장수간도로가 꼭 필요하다고 볼 수도 없었다.

인근 주민들은 즉시 ‘검단장수간 민자도로 전면 철회 범주민대책위원회’를 꾸렸다. 인천녹색연합 또한 건설 반대 운동을 시작했고, 결국, 검단장수간 민자도로 건설 계획은 2012년 2025인천도시기본계획에서 삭제됐다.

그러고 나서 3년이 지났다. 인천시는 2015년에 2030인천도시기본계획을 발표하면서 검단장수간도로계획을 슬그머니 다시 끼워 넣었다. 도로개설을 통해 검단신도시 분양률을 높이려는 의도로 파악되었다. 검단신도시 건설은 2015년 12월에 1-2공구(LH구간)가 착공되면서 시작됐다. 2017년 1월에는 1-1공구(iH구간)가 착공됐다.

 

검단~장수 도로반대시민행동

 

인천지역 시민단체와 주민들은 또 한 번 거리에 나섰다. 인천녹색연합 등 시민단체들은 2030인천도시기본계획수립(안) 공청회장 앞에서 검단장수간도로계획 재추진 계획 철회촉구 기자회견 진행하고 반대의견서를 전달했다. 7월에는 주민대책위원회에서도 인천시와 인천시의회에 반대의견서를 제출했다. 9월에는 인천지역 종교인들이 도로계획폐지촉구 호소문을 발표하고 시민사회단체들에서 도로계획지 현장답사와 함께 검단장수간도로폐지! 인천녹지축보전 9일걷기 행사를 진행했다. 결국 인천시는 2030인천도시기본계획(안)에서 검단장수간도로계획을 삭제키로 결정했다고 공식발표했다.

한남정맥 인천구간을 포함한 인천내륙의 S자 녹지축을 훼손하려는 도로 개설 시도는 잊을 만하면 등장했다. 2019년에는 ‘검단신도시연결도로’가, 2020년에는‘ 검단중앙공원 민간특례사업’이, 2021년에는 계양구 봉오대로와 서구 경명로를 잇는 3㎞의 도로개설사업이 논란을 빚었다. 잠시라도 한 눈을 팔 수 없는 이유다. 따라서, 인천지역 녹지축의 실태조사와 보전·복원 계획을 서둘러 수립해 훼손 시도를 근본적으로 막아내야 하는 과제가 남게 되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시민과 함께하는 인터넷 뉴스 월 5,000원으로 소통하는 자발적 후원독자 모집